KAI가 한화시스템과 협력해 전자전 장비 소형화·경량화를 추진하며 한국형 전자전기 사업 경쟁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사진 = KAI]

[이코노미 트리뷴 = 김용현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약 1조7775억 원 규모의 한국형 전자전 항공기 사업을 놓고 본격적인 경쟁에 뛰어들었다.

방위사업청은 다음 달 최종 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KAI는 17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2025 전자기전 워크숍’에서 전자전 항공기 최종 제안 형상을 공개했다. 이번 사업은 캐나다 봄바르디어의 중형 민항기 G6500을 개조해 전자전 장비를 탑재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전자전 항공기(전자전기)는 장착된 전자 장비를 통해 적의 대공 레이더와 통신 체계를 무력화하는 임무를 맡는다.

KAI는 출력·무게중심·냉각·전력 시스템을 최적화하고 레이더·안테나 성능을 강화해 전자전 임무 수행에 적합하도록 설계했다고 밝혔다.

또한 한화시스템과 협력해 장비의 소형화·경량화를 추진했으며, 동체 양측에 장비를 배치해 기체 성능 저하를 최소화했다.

KAI는 이번 형상이 미 공군 최신 전자전기 EA-37B와 동급 수준의 설계라고 강조했다.

EA-37B는 걸프스트림 G550을 기반으로 개발된 항공기로, 기존 EC-130H를 대체하기 위해 미국에서 운용되고 있다.

한편, 이번 사업에는 대한항공·LIG넥스원 컨소시엄도 참여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기체 개조와 체계 통합을, LIG넥스원은 전자전 장비 개발을 맡아 민항기 개조 경험과 장비 개발 역량을 기반으로 수주에 나서고 있다.

방위사업청은 기술성과 사업성 등을 종합 검토해 최종 사업자를 확정할 방침이다.

economytribune@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