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 트리뷴=김용현 기자] 국내 사용후 배터리 산업이 본격화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협회장 김동명, 이하 ‘협회’)는 10일 환경부가 주재한 비상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한 ‘사용후 배터리 산업 육성을 위한 법·제도·인프라 구축방안’에 대해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협회는 지난해 정부에 제출한 업계 건의안 핵심 내용 대부분을 정부가 대책안에 반영했다며 업계의 목소리를 최대한 담은 정부 조치를 높이 평가했다.
지난해 11월 협회가 정부에 제출한 '전기자동차 사용후 배터리 산업 활성화를 위한 민간 중심 통합관리체계 구축 방안'은 협회와 자동차, 배터리, 재생용·재활용 등 관련 업계가 함께 추진했다.
동 방안은 사용후 배터리를 폐기물이 아닌 제품으로 정의하고 민간의 자율 거래를 활성화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는 사용후 배터리 산업이 리사이클링을 본격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셈이다.
또한 배터리 전(全)주기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해 배터리 생산·사용·폐기까지 모든 과정을 관리하고 체계적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통해 품질과 안전을 보장한다.
협회는 이번 발표가 민간의 자율 거래를 원칙으로 하는 ‘민간중심 사용후 배터리 산업’을 육성하는데 큰 힘이 될 것으로 풀이했다.
정부의 사용후 배터리 산업 육성 정책에 따라 국내 배터리 리사이클링 추세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사진=Pexels]
시장조사 업체 SNE리서치는 세계 전기차 폐차 대수가 2025년 56만대에서 2040년 4227만대로 급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폐배터리 발생량이 2025년 44GWh(기가와트시)에서 2040년 3339GWh까지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용후 배터리는 전기차 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경제적으로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품목이다. 또한 국내 기업이 기술 발전을 통해 해외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박태성 협회 상근 부회장은 "이번 사용후 배터리 산업 육성 방안이 속도감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국회 입법 및 이력관리시스템 구축 예산 등 관련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협회도 사용후 배터리 산업이 미래 혁신산업으로 조속히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정부 및 관련 업계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긴밀히 협력하겠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