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이 구금 근로자 전원 귀국을 지원한 가운데, 미국은 인권 논란과 비자 제도 불확실성으로 신뢰성 논란에 직면했다. [사진 = LG에너지솔루션]
[이코노미 트리뷴 = 이경철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이민당국에 구금됐던 근로자들의 귀국을 위해 전세기를 마련하고 전방위 지원에 나섰다. 회사 측은 "구성원들의 고통에 깊이 공감하며 안전한 귀국과 건강 회복을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다하겠다"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11일 입장문을 내고 "이번 일로 많은 어려움을 겪은 분들이 무사히 한국에 도착할 때까지 후속 절차를 챙기고, 안정된 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해외 사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비해 예방과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사업적 영향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도 덧붙였다.
◇ 전세기 운항부터 귀가까지 밀착 지원
이번 전세기에는 구금 근로자 330명이 탑승했다. 한국인 316명 외에도 중국(10명)·일본(3명)·인도네시아(1명) 등 외국 국적 근로자 14명이 포함됐다.
좌석 배정은 세심하게 이뤄졌다.
건강이 악화됐거나 의료적 처치가 필요한 인원에게는 일등석 2석과 비즈니스석 48석이 우선 배정됐고, 일등석 4석은 ‘집중치료석’으로 별도 마련해 의료진이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일반 구금자는 이코노미석에 배치됐지만, 전원에게 비즈니스 클래스용 어메니티 키트와 충전 케이블·마스크 등 편의품이 제공됐다.
귀국 후 지원도 이어진다.
LG에너지솔루션과 협력사 소속 귀국자 전원은 운전기사가 동승하는 개별 차량을 통해 가족 픽업부터 귀가까지 전 과정을 지원받는다. 또 귀국자 한 명당 LG에너지솔루션 담당자 1명이 배정돼 맞춤형 케어를 제공하며, 외국 국적 근로자들에게는 숙소와 자국 복귀 항공편을 전액 지원한다.
◇ 인권 논란에 투자 신뢰 흔들린 미국
이번 사태를 두고 외신에서도 미국 정부의 대응을 둘러싼 비판이 거세다.
구금 근로자들에게 수갑을 채운 채 이송하려 한 장면은 범죄자 취급에 가깝다는 지적을 받으며 인권 침해 논란을 불러왔다.
한국 정부의 항의로 수갑 착용은 철회됐으나, 외국인 숙련 인력을 대하는 방식으로는 부적절하다는 비난이 이어졌다.
더 큰 문제는 제도적 허점이다.
제조업 투자를 장려하면서도 숙련 인력이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는 비자 제도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심지어 합법 비자를 보유한 근로자까지 단속 과정에서 체포된 사실이 드러나면서 "투자 유치는 강조하면서 제도 지원은 미흡하다"는 비판이 확산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신뢰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제조업 부흥과 불법 고용 단속이라는 두 목표가 충돌하면서 정책 환경의 예측 가능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정부가 단기 정치적 메시지에만 치중한다면 장기적으로 해외 투자자 이탈을 부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igyeongcheol777@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