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테슬라 전기차 등록 대수가 11만 대를 넘었지만 서비스센터는 14곳에 그쳐, BMS 수리 지연으로 인한 소비자 불편이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진 = Rawpixel]
[이코노미 트리뷴 = 김용현 기자] 최근 5년간 국내에서 테슬라 전기차의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수리에 평균 23.4일이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 등록 대수는 급증했지만 정비망 확충이 뒤따르지 못하면서 소비자 불편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3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이 테슬라코리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8월부터 올해 9월 17일까지 접수된 BMS 수리 건수 4637건의 평균 소요 기간은 23.4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7일 미만에 수리가 완료된 경우는 24.5%에 불과했으며, 3개월 이상 걸린 사례도 127건에 달했다.
최장 수리는 무려 926일이 소요됐다.
같은 기간 국내 테슬라 등록 대수는 2020년 1만5000여 대에서 올해 상반기 11만2000대로 7배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서비스센터는 전국에 14곳에 불과해 대전·울산·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 등 7개 시도에는 아예 센터가 없다.
박 의원은 “등록 대수가 10만 대를 넘어섰는데도 정비망은 턱없이 부족하다”며 “전국적 정비망 확충과 배터리 보증기간 연장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외에서는 이와 달리 ‘수리권(right to repair)’ 개념이 부각되면서, 소비자가 독립 정비소에서도 제조사와 동일한 부품과 진단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가 마련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지난해 관련 지침을 통과시켜 제조사에 정보 제공 의무를 부과하고 독립업체의 진입 장벽을 낮췄다.
미국에서도 일부 주(州)에서 차량 데이터 접근권을 보장하는 법안이 마련되는 등 소비자 권익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국내 경쟁사인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테슬라와 달리 직영망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현대차 블루핸즈, 기아 오토큐 등 위탁 가맹 정비소 네트워크를 통해 정비망을 넓히고 소비자 접근성을 확보하는 구조다.
테슬라처럼 본사가 직접 센터를 운영하며 비용 절감을 우선시하기보다, 협력업체를 통한 전국망을 활용하는 방식이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보급 속도에 비해 테슬라의 정비망 확충은 여전히 미흡하다”며 “해외의 수리권 제도와 국내 경쟁사의 위탁망 운영 사례를 고려할 때, 테슬라 역시 정비 접근성을 높일 구체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economytribune@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