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17일 삼성중공업 판교R&D센터에서 열린 ‘ORC 기반 폐열회수발전시스템 해상 실증 MOU’ 협약식에서 김민강 HMM 해사실장(가운데), 이호기 삼성중공업 친환경연구센터장(왼쪽), 이민걸 파나시아 대표이사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코노미 트리뷴 = 김용현 기자] 18일 HMM에 따르면, 회사는 삼성중공업·파나시아와 ‘ORC(Organic Rankine Cycle) 기반 폐열회수발전시스템’의 해상 실증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식은 17일 삼성중공업 판교R&D센터에서 진행됐으며, 3사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했다.
ORC 폐열회수발전시스템은 선박 엔진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다시 활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기존 증기식 방식이 고온 폐열에만 의존했다면, ORC는 낮은 온도에서도 기화하는 유기 열매체를 사용해 중·저온 폐열까지 전력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 기술이 적용되면 발전기 사용량이 줄어들어 탄소 배출을 줄이고 연료비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 특히 LNG·메탄올 등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의 경우 높은 연료 단가를 고려하면 경제성은 더욱 높아진다.
이번 국내 최초 해상 실증을 통해 3사는 △ORC 시스템의 성능 검증 △기술·경제성 타당성 검토 △실증 운항 데이터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예상되는 효과는 연간 연료 230톤 절감, 탄소 700톤 감축이다.
HMM은 운항 중인 16,000TEU급 컨테이너선에 삼성중공업이 개발한 250kW급 ORC 시스템을 탑재해 해상 실증을 진행할 계획이다.
회사는 올해부터 내년까지 9,000TEU급 메탄올 이중연료선 9척을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있으며, 지난 10월에는 13,000TEU급 LNG 이중연료선 12척 도입을 결정하는 등 친환경 선대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HMM 관계자는 “글로벌 2050 탄소중립 흐름에 맞춰 HMM은 ‘2045 Net-Zero’라는 조기 목표를 세웠다”며 “친환경 연료 선박 확보와 다양한 기술 개발·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kyh-official@economytribu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