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아이폰 17 시리즈를 공개하며 초슬림 ‘아이폰 에어’, 전 모델 프로모션 디스플레이(1~120Hz 가변 주사율), AI 기반 실시간 번역과 비주얼 인텔리전스 등 업그레이드를 선보였다. [사진 = SK텔레콤]


[이코노미 트리뷴 = 김용현 기자] 애플이 아이폰 17 시리즈를 공개했다.

이번 신제품은 ‘아이폰 에어’라는 초슬림 모델(두께 약 5.6mm)을 포함해 전반적인 디자인을 얇고 가볍게 다듬었으며, 전 모델에 프로모션 디스플레이를 적용했다.

최대 120Hz까지 지원하면서 상황에 따라 1Hz까지 낮출 수 있는 가변 주사율 기술을 통해 화면 전환의 부드러움과 배터리 효율을 동시에 강화했다.

외신의 반응은 엇갈렸다.

영국 가디언은 “스타일 중심 소비자에게 매력적인 초슬림 디자인”이라고 호평했으며, 와이어드는 “수년 만에 가장 큰 디자인 변화”라고 평가했다.

반면 뉴욕포스트는 “과도하게 넓어진 카메라 바 때문에 안드로이드폰을 닮았다”는 비판을 실었다.

일부 소비자들은 블랙 색상 제외에 아쉬움을 드러냈다.

AI 기능도 주목을 받았다.

iOS 26과 함께 도입된 실시간 번역, 화면 인식 기반 ‘비주얼 인텔리전스’, 영상 촬영 시 자동 프레이밍 기능 등은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그러나 워싱턴포스트는 “구글 픽셀에 비해 맥락 이해와 대화형 AI 기능은 부족하다”고 지적했으며, 더버지는 “행사에서 AI에 대한 강조가 기대보다 약했다”고 평가했다.

가격 정책도 논란의 대상이 됐다.

프로 모델 가격이 100달러 인상되면서 “체감 혁신에 비해 가격 부담이 크다”는 비판이 나왔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애플이 여전히 프리미엄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며 안정적인 판매를 예상했다.

◇ 삼성 기술 훔친 BOE…애플이 길 터줬나

아이폰 17 전 라인업에 프로모션 디스플레이가 적용되면서 애플은 기존 삼성·LG에 더해 중국 BOE를 주요 공급망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BOE는 LTPO OLED 품질 테스트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았고,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삼성 디스플레이의 영업기밀을 침해했다”는 예비 판결을 내리면서 향후 15년간 미국 수입이 금지된 상태다.

LTPO OLED는 애플이 프로모션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해 채택한 차세대 패널로, 기존 OLED 대비 전력 효율과 응답 속도를 크게 개선한 기술이다.

업계에서는 “삼성과 LG가 수년간 축적해온 핵심 경쟁력”으로 꼽히며, BOE가 이를 구현하는 데 난항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 전문가는 “완제품인 아이폰 자체는 여전히 수입이 가능하지만, ‘삼성 기술을 훔친 부품이 들어갔다’는 리스크가 애플의 브랜드 이미지를 위협할 수 있다”며 “중국 내에서도 BOE 디스플레이 탑재 모델은 소비자 기피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또 다른 시각도 존재한다.

업계 일각에서는 “애플이 BOE에 삼성 OLED와 동일한 품질을 요구하면서 삼성의 구체적 스펙 자료를 공유해 사실상 역설계를 가능하게 했다”는 의혹을 제기한다.

BOE의 기술 탈취 가능성을 애플이 알고도 묵인했을 수 있다는 의혹까지 나오면서, 이번 사태는 단순한 공급망 이슈를 넘어 애플의 윤리와 책임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애플이 BOE를 쉽게 포기하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팀 쿡 CEO가 중국을 ‘아이폰 생산 왕국’으로 키워온 만큼 BOE와의 협력은 단순한 원가 절감 차원을 넘어 전략적 성격을 갖는다”며 “2750억 달러 투자와 2800만 명의 IT 인력 양성을 통해 형성된 공급망이 애플의 초고수익 구조를 떠받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 미·중 사이 낀 애플, 수익성도 위태롭다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애플 문제를 단순한 기업 리스크가 아닌 정치·안보 이슈로 규정하면서 긴장감은 더 커지고 있다.

미국 정부는 애플의 중국 의존을 비즈니스 리스크를 넘어 국가안보 문제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업계 전문가는 “애플의 부품 관리와 품질 관리 시스템이 중국 제조업을 고도화시키며 DJI 드론과 방산 산업까지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미국 행정부의 불만”이라고 설명했다.

DJI는 중국 선전에 본사를 둔 세계 최대 민간 드론 제조사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약 70%에 달한다.

소비자용 촬영 드론은 물론 산업·군사용 모델까지 영역을 넓히며 사실상 세계 드론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이 같은 기류 속에서 트럼프 행정부는 60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내 투자(AMP 프로그램)를 요구했고, 애플은 인도 생산 확대를 병행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여전히 중국 부품 의존이 깊다.

업계에서는 “제조 단가가 중국 대비 약 10% 높아지고, 관세 부담까지 감안하면 가격 상승 압박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한다.

전문가들은 “현실적으로 애플이 당장 탈중국을 실행하기는 어렵다”며 “현재로서는 ‘탈중국’이 아니라 ‘탈리스크’, 즉 미·중 양국 사이에서 위험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펼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아이폰 17 가격을 충분히 올리지 못한 것은 애플이 30% 이상을 유지해온 초고수익 구조가 흔들릴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라는 평가도 나온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담을 소비자에게 떠넘겨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 점까지 맞물리면서, 애플의 가격 정책은 더욱 제약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