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 트리뷴 = 김용현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운전자의 페달 오조작으로 인한 급발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능동형 안전 보조 기술을 도입한다.
최근 도심과 시장 등에서 운전자의 페달 착오로 인한 대형 사고가 발생하면서, 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 기술이 개발됐다.
현대차그룹은 22일 준중형 전용 전기 SUV ‘더 기아 EV5’ 전 트림에 페달 오조작 안전 보조와 가속 제한 보조 기능을 기본 탑재했다고 밝혔다.
페달 오조작 안전 보조는 정차 상태에서 전·후방 1.5m 이내 장애물을 초음파 센서가 인식하면, 운전자가 브레이크 대신 가속 페달을 밟을 경우 차량 통합 제어기(VPC)가 이를 비정상 입력으로 판단해 즉시 토크를 제한하거나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주차장이나 정체 구간 등에서 효과가 기대된다.
가속 제한 보조는 시속 80㎞ 미만 주행 중 가속 페달을 장시간 깊게 밟으면 입력값을 ‘0’으로 처리해 토크를 줄이는 기능이다. 이 과정에서 전방 충돌 위험이 감지되면 ‘전방 충돌방지 보조’ 등 다른 주행 안전 기술이 함께 활성화돼 사고 위험을 최소화한다.
현대차그룹은 주행 환경별 작동 조건을 세분화하고, △클러스터 팝업 △경고음 △음성 메시지 등 단계적 알림 체계를 마련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러한 첨단 안전 보조 기술을 전기차뿐 아니라 하이브리드, 내연기관 차량으로 점차 확대 적용해 운전자 조작 실수로 인한 사고 위험을 최소화하고, 전 차종에 걸쳐 주행 안전성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economytribune@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