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현대자동차그룹]


[이코노미 트리뷴 = 김용현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신소재 연구에 속도를 낸다.

현대자동차그룹은 6일(현지시각) 영국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커스프AI(CuspAI) 본사에서 인공지능 재료공학 기술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AI를 활용해 소재의 효율성과 내구성, 안정성을 높이고 차세대 고기능성 소재 발굴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양한 산업에서 ‘과학을 위한 AI(AI for Science)’가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현대자동차그룹은 소재 연구 단계에서부터 AI를 적극 도입해 연구개발 전반의 생산성과 혁신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AI for Science’는 AI가 방대한 실험 데이터를 학습하고 구조를 예측해 신소재나 단백질 서열 등을 설계하는 방식으로, 기존 방식 대비 개발 기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같은 접근법은 자동차 경량화 소재, 배터리 소재, 전고체 전해질 등 차세대 모빌리티 핵심 분야에서 특히 활용도가 높다.

현대자동차그룹 박철 신사업전략실장은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의 핵심 축은 소재에서 비롯된다”며 “AI 기반 연구 협력을 통해 기존 방식으로 해결이 어려웠던 과학적 과제를 풀어가며 차세대 소재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커스프AI는 생성형 AI와 딥러닝, 분자 시뮬레이션을 결합해 목적에 맞는 소재 후보군을 빠르게 탐색하고 최적화하는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이다.

커스프AI 채드 에드워즈 CEO는 “차세대 소재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핵심”이라며 “제조 역량을 갖춘 현대자동차그룹과의 협력으로 개발 속도를 한층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미래차 플랫폼과 신에너지 파워트레인에 적합한 고성능 소재 확보와 함께 소재 수명주기 전반의 친환경성 개선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룹은 향후 글로벌 AI 연구기관 및 소재 전문 기업과의 협력도 확대하며 연구 네트워크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