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트리뷴 = 김용현 기자] 7일 LG전자는 경기도 평택 LG디지털파크에서 협력사 자율 협의체인 ‘협력회’와 워크숍을 열고 글로벌 사업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상생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조주완 대표이사(CEO)를 비롯해 HS·MS·VS·ES사업본부장, 생산기술원장, 글로벌오퍼레이션센터장 등 경영진과 협력사 대표 83명이 참석했다.
조주완 CEO는 환영사를 통해 “올 한 해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경영성과 창출을 위해 함께 힘써주신 협력사에 감사드린다”며 “협력사는 LG전자의 가족이자 고객인 만큼, 당면한 과제에 함께 대응하며 지속 성장의 발판을 만들어가자”고 말했다.
협력사 측도 제조 경쟁력과 질적 성장 의지를 강조했다.
협력회는 “LG전자와 협력해 스마트팩토리 솔루션과 플랫폼 구축을 적극 추진하고 품질 개선과 생산성 향상을 통해 제조 경쟁력을 높여 나가겠다”며 “연구개발(R&D) 역량도 지속 강화해 양적 성장보다 ‘질적 성장’을 함께 이루겠다”고 밝혔다.
워크숍에서는 미국 관세 부담 확대와 글로벌 시장 경쟁 심화 등 최근 사업환경 변화에 대한 진단과 전망이 공유된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와 협력사는 이러한 변화가 위험요인인 동시에 새로운 사업 기회를 만들 수 있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특히 LG전자가 추진 중인 B2B 사업 확대와 주요 제품군 내 ‘볼륨존’ 라인업 강화,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전략에 맞춰 협력사의 역할을 어떻게 넓혀갈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단순 부품 공급을 넘어 제품 기획부터 생산·품질·물류까지 전 과정에 협력사가 참여하는 구조를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아울러 글로벌 사우스 지역으로의 동반 진출, 현지 생산 거점 확보, 지역별 시장 특성에 맞춘 제품 공동 개발 등 구체적인 협력 방안도 검토됐다고 전했다.
LG전자는 2013년부터 매년 상·하반기 정기총회와 워크숍을 운영하며 경영 목표와 성과를 공유하고 상생 의지를 다져오고 있다. 이번 행사 역시 동반성장 체계를 강화하는 취지에서 이어진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가 상시화된 상황에서 제조 파트너와의 협력 구조는 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며 “LG전자와 협력사의 공동 전략이 향후 신시장 확대와 기술 경쟁력 확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economytribune@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