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서울 종로구 현대해상 본사에서 열린 ‘로보틱스 기반 보험 및 금융 서비스 고도화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현대자동차·기아 로보틱스랩 현동진 상무(오른쪽)와 현대해상 윤의영 기업보험부문장 전무(왼쪽)가 로봇 특화 보험상품 ‘딥테크종합보험’ 출시를 알리는 기념패를 들고 있다. [사진 = 현대자동차그룹]


[이코노미 트리뷴 = 김용현 기자] 24일 현대자동차그룹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기아가 현대해상과 손잡고 로보틱스 기반 보험·금융 서비스 고도화에 나섰다. 로봇 서비스 확산 흐름 속에서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차원의 협력이다.

현대자동차·기아는 이날 서울 종로구 현대해상 본사에서 ‘로보틱스 기반 보험 및 금융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현대자동차·기아 로보틱스랩 현동진 상무와 현대해상 기업보험부문장 윤의영 전무가 참석했다.

이번 협력은 로봇 서비스 산업이 호텔·병원·공항 등 다양한 현장으로 확대되는 가운데,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보험·금융 서비스와 연계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양측은 △로봇 특화 보험상품 개발 △로봇 운영 리스크 관리 체계 구축 △보험·금융 융합 모델 및 신규 시장 진출 등 세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한다.

먼저 양사는 로봇 특화 보험을 공동 개발해 연내 출시 예정인 1호 상품 ‘딥테크종합보험’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 현대자동자동차·기아가 호텔·병원·공항 등에서 실증 중인 배송 로봇과 전기차 충전 로봇의 운영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험 리스크를 분석하며 상품 설계를 구체화한 것이 특징이다.

현대자동차·기아는 향후 자사 로봇 제품의 운영·판매 과정에서 보험 연계를 확대해 로봇 서비스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또한 사이버 공격, 개인정보 침해, 네트워크 보안 등 신종 사고가 발생할 경우 책임소재와 보상 기준을 명확히 하기 위해 보험 서비스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양측은 로보틱스 기술과 보험 산업을 결합해 로봇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을 줄이는 체계를 공동으로 구축한다. 나아가 로봇 사용자의 총소유비용(TCO)을 낮출 수 있는 보험·금융 연계형 신상품 개발에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현대자동차·기아 로보틱스랩 현동진 상무는 “로봇 산업에 특화된 보험과 데이터 기반 금융 서비스 모델을 정립해 로봇 기술 상용화를 앞당기고 투자 안정성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현대해상 기업보험부문장 윤의영 전무는 “미래 로봇 생태계가 더욱 안전하고 인간 친화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 혁신 속도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kyh-official@economytribu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