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은 5년간 6만명, SK는 반도체·AI 인재 8000명, 현대차는 전동화·SDV 전환 위해 7200명, LG는 3년간 1만명, 한화는 하반기 3500명, 포스코는 5년간 1만5000명, HD현대는 5년간 1만명 채용 계획을 세우며, 총 7대 그룹이 연간 약 3만3000명의 청년 고용 창출에 나선다. [사진 = 대통령실]

[이코노미 트리뷴 = 이경철 기자] ‘상법 개정안과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2·3조 개정법) 등 기업 옥죄는 반(反)기업 입법과 트럼프 관세 압박에도 고용 창출을 통한 경기 활성화에 기여한다’

최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상법 개정안과 노란봉투법 통과 등을 추진해 기업 경영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주요 대기업이 청년 고용을 확대하기 위한 통 큰 채용 방침을 밝혀 눈길을 모은다.

◇ 삼성, 해마다 1만2000명 등 향후 5년간 6만명 뽑는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를 비롯해 SK, 현대차, LG, 한화, 포스코, HD현대 등 주요 대기업은 신입채용 비율을 크게 늘릴 계획이다.

특히 삼성의 채용 계획은 파격적이다.

삼성은 해마다 1만2000명을 뽑아 향후 5년간 6만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SK도 예외는 아니다.

SK는 올해 말까지 반도체와 AI(인공지능) 등 첨단기술 인재를 8000명 고용할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화두는 AI 제조에 핵심 부품인 HBM(고(高)대역폭메모리)”이라며 “반도체 제조업체 SK하이닉스를 비롯해 첨단 기술 계열사가 우수인재를 확보해 기술 초격차(경쟁업체가 추격할 수 없는 기술 격차)에 나서고 있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자동차도 청년 고용 창출에 앞장선다.

현대차는 전동화(전기자동차)를 비롯해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전환에 속도를 내기 위해 올해 연말까지 7200명 채용할 예정이다.

LG그룹은 향후 3년간 1만명을 채용할 방침이며 이 가운데 절반이 넘는 7000명이 신입 채용이다.

LG그룹 관계자는 “그룹 차원에서 핵심 사업인 배터리와 전장(자동차 전자장비)를 비롯해 향후 먹거리인 AI·바이오 등 미래 사업 영역에 채용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풀이했다.

한화그룹도 젊은 인재 수혈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를 위해 한화는 올해 하반기에 3500명을 채용할 방침이다.

한화 관계자는 “한화그룹은 최근 방산·우주·조선·해양·금융·기계 사업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라며 “신규 인력은 이들 분야에 집중 배치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포스코그룹은 향후 5년간 1만5000명 채용해 청년 일자리 창출에 앞장선다.

업계 관계자는 “포스코그룹은 철강기업 ㈜포스코가 중국의 저가 철강제품 공세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50% 부과로 혹독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라며 “그러나 포스코는 청년 채용에 적극 나서 일자리 창출과 경제발전에 기여하겠다는 경영처락을 갖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HD현대, 올해 1500명을 신규 채용해 2029년까지 향후 5년간 조선·건설기계·에너지 부문 등 총 19개 계열사에서 1만여명의 인원을 새로 뽑을 예정이다.

재계 관계자는 “이들 7대 그룹의 향후 신규 채용 계획을 살펴보면 해마다 약 3만3000명의 신규 인력을 고용하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최근 기업이 대내외 환경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이처럼 대규모 채용에 나선 것은 기업의 사회적책임(CSR)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 기업의 대규모 고용 창출에 정부-정치권 기업 ‘기 살리기’ 나서야

국내 기업이 최근 대내외 환경 악화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이처럼 신규 채용이 지갑을 열어 박수칠 일이다.

그러나 기업의 경제 살리기 노력에 발맞춰 정부와 정치권도 기업 살리기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의 관세전쟁 등 수출 전선이 갈수록 악화돼 기업 입장에서는 오히려 신규 고용 축소 등 허리띠를 졸라매야 하는 처지”라며 “그러나 기업이 청년 고용에 의욕을 내비쳐 경기를 살려야 한다는 경영철학이 펼쳐지고 있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물론 대기업의 이번 결정에는 청년 고용에 대기업이 힘써 달라는 이 대통령 주문도 한 몫을 했을 것”이라며 “그러나 경기 활성화를 바라는 대기업 총수들의 판단도 크게 작용했다”라고 내다봤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특히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최근 주도하고 있는 상법 개정안과 노란봉투법 등 각종 입법이 ‘기업의 기(氣) 살리기’가 아닌 ‘기업 경영 악재’라는 인식이 강하다”라며 “대다수 국민이 좀처럼 수긍하기 힘든 입법으로 기업에 어려움을 준다면 이는 기업은 물론 국가경제에도 큰 손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대규모 채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AI,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등 우리 기업들이 향후 주력해야 할 신(新)성장동력에 집중됐다”라며 “우리 국가경제 발전을 이끌 주요 산업이라는 점에서 정부와 정치권의 지원이 절실하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대기업이 하반기 대규모 신규 채용에 나서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청년 실업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극 동참하고 있다”라며 “이제는 정부와 정치권이 이에 화답할 차례”라고 역설했다.

igyeongcheol777@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