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버사이드시에 있는 ‘현대로템 스마트 일렉트릭 아메리카(HRSEA)’전장품 공장 외부 전경. [사진 = 현대로템]
[이코노미 트리뷴 = 김용현 기자] 현대로템이 미국 현지에 첫 철도차량 전장품 생산 거점을 마련하며 북미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대로템은 18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주 리버사이드시에서 철도차량 전장품 생산 공장인 ‘현대로템 스마트 일렉트릭 아메리카(HRSEA)’ 준공식을 열었다고 19일 밝혔다.
준공식에는 LA 메트로, 리버사이드시 관계자, 주 LA 총영사 등 현지 주요 인사와 현대로템 임직원, 협력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약 8500㎡(2600평) 규모 부지에 건설된 HRSEA는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 △보조전원장치 등 승객용 철도차량의 핵심 전장품을 현지에서 직접 생산·시험하는 시설이다.
단순 생산을 넘어 사후 고객서비스(CS)와 신규 전장품 사업까지 아우르는 종합 거점으로 운영된다.
이용배 현대로템 대표이사 사장은 기념사에서 “철도 산업에서 품질은 결코 타협할 수 없는 가치”라며 “HRSEA는 이러한 신념을 미국 현지에서 실현하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리버사이드 지역 고용 창출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며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공장 설립은 미국의 ‘바이 아메리카(Buy America)’ 정책 대응 차원에서 의미가 크다.
연방정부가 지원하는 인프라·철도 프로젝트에는 일정 비율 이상의 현지 생산 부품 사용이 의무화돼 있다.
현대로템은 HRSEA를 통해 주요 철도 운영기관 수요에 맞춘 안정적이고 신속한 공급망을 확보하고, 신규 프로젝트에서 경쟁 우위를 점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HRSEA에서 생산되는 전장품은 현대로템의 기술력과 노하우가 집약된 장치다.
추진제어장치와 견인전동기는 차량의 추진력과 제동력을 제어해 가감속을 담당하며, 보조전원장치는 각종 서비스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필수 장치다.
현대로템은 2028년 LA올림픽·패럴림픽을 전후해 미국 내 철도 인프라 수요가 집중될 것으로 보고 HRSEA를 중심으로 북미 시장 네트워크를 더욱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현대로템은 이미 미국에서 꾸준한 성과를 쌓아왔다.
2006년 캘리포니아 2층 객차를 시작으로 플로리다·보스턴·필라델피아·덴버 등 다수의 철도 사업을 수주했으며, 지난해에는 LA메트로 전동차 사업을 확보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HRSEA는 미국 철도 인프라 개선을 위한 전략적 전진 기지”라며 “바이 아메리카 규정 준수와 현지화를 통한 최적의 품질 관리, 적기 납품으로 시장 신뢰를 쌓아가겠다”고 말했다.
economytribune@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