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경기도]


[이코노미 트리뷴 = 김용현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VANK)와 함께 생성형 인공지능(AI)이 만들어내는 경기도 관련 오류 정보를 바로잡는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반크는 청소년과 시민이 중심이 되어 한국의 역사·지리·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는 민간 외교단체다.

13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생성형 AI 속 경기도 자료 오류 대응 간담회’에는 김동연 지사와 박기태 반크 단장, 연구원 등 10명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는 AI가 생성한 경기도 관련 오류 사례가 다수 소개됐다.

대표적으로 △강원도 춘천시 남이섬을 경기도 가평군으로 잘못 표기하거나 △경기도청 광교청사 이전 연도를 2016년·2023년 등으로 잘못 안내한 사례 △기후소득·버스 환승제·청년정책 등 정책 정보 왜곡 △경기도 문화유산 이미지 변형과 역사 축소 등이 언급됐다.

반크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경기도 공식 누리소통망(SNS)·누리집을 통한 AI 오류 신고 캠페인 전개 △AI 오류 신고 보상제 도입 △도내 대학·연구기관·민간기업과의 AI 검증 협력 모델 구축 △경기도형 AI 검증 플랫폼 및 오류 아카이브 구축 등을 제안했다.

또 AI 오류를 모니터링하고 수정하는 ‘글로벌 AI 대사(Global AI Ambassador)’ 양성사업을 통해 청소년·청년 중심의 참여 프로그램을 확대하자는 방안도 내놓았다.

김 지사는 “반크가 제안한 여러 방안은 도와 함께 추진할 만한 가치가 있다”며 “공공기관이 아닌 도민이 직접 AI 오류를 찾아 인센티브를 받는 방식을 검토해보라”고 지시했다. 이어 “이번 회의를 계기로 실국별로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세워 협력하라”고 강조했다.

박기태 반크 단장은 “경기도가 최초로 도민을 글로벌 AI 대사로 양성해, 전 세계에 퍼진 AI 오류를 발견하고 시정하는 모델을 만들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반크와 협력해 데이터 크라우드소싱 기반 오류 탐지 시스템을 마련하고, 생성형 AI의 신뢰도와 윤리적 활용 기반을 강화하는 경기도형 플랫폼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향후 AI위원회 및 관련 부서와의 연계를 통해 도민이 주체가 되는 AI 행정 혁신 모델을 실현한다는 구상이다.

한편 경기도와 반크는 2021년 ‘독도의 날’ 간담회, 2024년 ‘청소년·청년 기후대사’ 협약 등을 통해 협력 관계를 이어왔으며, 이번 간담회는 양 기관의 협력이 AI 분야로 확장된 첫 사례다.

economytribune@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