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LG그룹 최고경영진과 메르세데스-벤츠 올라 칼레니우스 회장을 비롯한 양측 경영진이 ‘원(One) LG’ 기반 자동차 부품 솔루션 협업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왼쪽부터 컬삿 카르탈 메르세데스-벤츠 R&D 코리아 센터장, 이다 볼프 메르세데스-벤츠 기업본부 총괄, 마티아스 바이틀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CEO, 올라 칼레니우스 메르세데스-벤츠 회장, 조주완 LG전자 CEO, 정철동 LG디스플레이 CEO,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CEO, 문혁수 LG이노텍 CEO. [사진 = LG전자]


[이코노미 트리뷴 = 이경철 기자] 독일 자동차 업계의 대명사 메르세데스 벤츠(이하 벤츠)가 삼성과 LG와의 사업 보폭을 넓힌다.

이를 위해 최근 한국을 방문한 올레 칼레니우스 벤츠 회장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만난 데 이어 여의도 LG트윈타워를 방문해 LG그룹 주요 계열사 CEO(최고경영자)와 회동했다.

칼레니우스 회장의 이번 방문은 전장(차량용 전자·전기장비)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에 있는 삼성과 LG 등 한국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벤츠의 적극적인 모습은 저품질 중국산 부품을 사용해 최근 2년간 잇따른 자동차 화재 사고에 대한 해법 찾기로 풀이된다.

특히 글로벌 자동차 무대에서 기존 내연기관 차량은 물론 전기차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려야 하는 벤츠로서는 품질 저하 논란을 잠재우고 한국산 고품질 제품을 적극 도입하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 벤츠 총수, 삼성-LG와 잇따라 만나 부품 조달 협의

벤츠 EQS 모델. [사진 = 메르세데스-벤츠]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벤츠와 협력을 모색하며 모빌리티(이동수단)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이 반도체·배터리·디스플레이·인포테인먼트로 이어지는 전장 풀 라인업(제품군)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 모빌리티가 삼성의 주력 사업으로 등장하는 모습이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은 벤츠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디지털 키 등에서 협력을 하고 있고 삼성전자 오디오·전장 자회사 하만은 벤츠에 럭셔리 전기차 EQS에 적용된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MBUX 플랫폼을 공급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삼성디스플레이도 벤츠의 최고급 라인 ‘마이바흐’ 라인업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납품하는 삼성은 벤츠와 여러 분야에서 협력 관계”라며 “칼레니우스 회장과 삼성과의 최근 회동에 대한 내용이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삼성이 벤츠와 반도체·전장·배터리·디스플레이를 아우르는 폭 넓은 협력 논의가 이뤄졌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내다봤다.

그는 또 “벤츠가 자체 운영체제(OS) ‘MB.OS’를 고도화할 고성능 차량용 칩이 필요해 삼성 파운드리와의 인공지능(AI)칩 협업도 얘기를 나눴을 것”이라고 점쳤다.

(왼쪽부터) 정철동 LG디스플레이 CEO, 조주완 LG전자 CEO,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CEO, 문혁수 LG이노텍 CEO, 컬삿 카르탈 메르세데스-벤츠 R&D 코리아 센터장, 마티아스 바이틀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CEO, 올라 칼레니우스 메르세데스-벤츠 회장, 이다 볼프 메르세데스-벤츠 기업본부 총괄. [사진 = LG전자]


LG그룹도 예외는 아니다.

LG와 벤츠 최고 경영진은 지난 13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만나 사업 협력 강화을 논의했다.

이번 모임에는 ‘LG그룹 전장 4대 계열사’인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에너지솔루션 △LG이노텍 주요 경영진이 모두 참석했다.

이들은 벤츠 최고 경영진과 LG의 자동차 부품 사업 역량을 결집한 ‘원(One) LG’ 솔루션 협업 확대 방안을 중점 논의했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핵심 영역인 모빌리티와 디지털화 등을 위해 벤츠와 실질적인 협의를 한 것으로 보인다”라며 “이를 위해 전기차 배터리(LG에너지솔루션)를 비롯해 차량 인포테인먼트(LG전자), 지능형 주행 보조 시스템(ADAS) 카메라, 자율주행 센싱(LG이노텍) 등 LG 계열사들이 대거 출동했다”라고 풀이했다.

그는 또 “LG디스플레이는 2026년형 벤츠 GLC EV(전기차)에 40인치 초대형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공급하는 등 벤츠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 중국산 부품 버리고 한국과 손잡아...벤츠, 서울에 제조구매 허브 설립

LG에너지솔루션의 미국 미시간 홀랜드 공장. 북미 전기차용 파우치형 NCM 배터리 생산 거점으로, 글로벌 완성차와의 공급망 협력에서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사진 = LG에너지솔루션]


벤츠가 삼성전자와 LG에 이처럼 협력의 손길을 내민 데에는 그동안 중국업체와의 부품 협력을 바꾸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벤츠는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에서 전기차 화재 사건이 빈발한 점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 그동안 주력으로 사용해온 중국산 배터리 의존도를 크게 낮추려는 태세다. 벤츠가 지난 9월 LG에너지솔루션과 15조 원 규모의 배터리 계약을 맺은 것이 대표적인 예다.

업계 관계자는 “벤츠가 한국에 러브콜을 보내고 있는 데에는 미국과 중국 갈등과 미국 관세 영향이 크다”라며 “특히 미국 정부가 중국산 부품에 대한 큰 거부감을 보이면서 벤츠 등 글로벌 기업이 한국산 부품을 적극 구매하려는 모습”이라고 풀이했다.

그는 “그동안 글로벌 기업이 품질 논란이 다소 빚어져도 가격이 싼 중국산 부품을 적극 구매해온 게 사실”이라며 “이를 통해 자동차 가격정책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특히 벤츠의 경우 글로벌 무대에 전기차를 판매했지만 차량 화재로 판매에 영향을 받고 있다”라며 “이런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 견제 정책도 한국 등 제조업 최강국으로 발길을 돌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벤츠는 우수한 한국산 부품을 제때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국내 공급망 확보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이를 보여주듯 벤츠는 내년 1월에 한국에 ‘아시아 구매 허브’를 구축한다.

칼레니우스 벤츠 회장이 지난 14일 인천 중구 파라다이스시티에서 열린 '메르세데스-벤츠 미래 전략 간담회'에서 "아시아 구매 허브는 장기 성장과 파트너십을 위한 강력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독일 연구개발·구매 부서가 긴밀히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구매 허브(중심)를 서울에 구축하겠다"고 밝힌 점도 같은 맥락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벤츠 등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이 중국산 부품을 공급망에서 배제하면 한국 부품업체들이 대체재가 되는 셈”이라며 “특히 한국산 부품은 가격 경쟁력과 우수한 품질을 모두 갖춰 외국 업체들이 포기할 수 없다”라고 강조했다.


◇ 삼성-LG와 협력해 2027년까지 신차 40종 선보일 방침

더 올-뉴 일렉트릭 GLC(The all-new electric GLC). [사진 = 메르세데스-벤츠]


벤츠는 삼성, LG와의 협력을 강화해 오는 2027년까지 한국을 포함해 세계 시장에 새차 40종 이상을 선보일 예정이다.

칼레니우스 회장은 14일 미래 전략 간담회에서 “순수 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동화 기반 첨단 내연기관 차량 등 벤츠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신차 및 기술 출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벤츠는 이날 △더 올-뉴 일렉트릭 GLC (The all-new electric GLC) △더 올-뉴 일렉트릭 CLA (The all-new electric CLA) △콘셉트 AMG GT XX(CONCEPT AMG GT XX) △비전 V(The Vision V) 등 브랜드의 미래 제품 전략을 보여주는 새차 4종을 국내 최초로 내놨다.

업계 관계자는 “칼레니우스 회장이 한국을 찾은 것은 2023년 8월 이후 2년 만”이라며 “그의 방한은 한국이 벤츠의 글로벌 판매 기준으로 5위 시장이라는 점도 작용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칼레니우스 회장은 이번 방문으로 중국 부품에 대한 대체재를 한국에서 찾고 세계 5위 시장인 한국에 신형 차량을 선보였다”라며 “그의 이러한 모습은 한국에서 전기차 시장의 절대 강자 테슬라의 아성에 도전하기 위해 삼성, LG와의 협업에 나서는 ‘큰 그림’도 담겨 있다”라고 풀이했다.

igyeongcheol@economytribu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