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현대자동차그룹]


[이코노미 트리뷴 = 이진석 기자] 25일 현대자동차그룹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기아가 글로벌 타이어 제조사 미쉐린(Michelin)과 ‘3차 기술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하며 차세대 타이어 성능 고도화에 나선다.

협약식은 24일 경기도 화성시 남양연구소에서 열렸으며, 현대자동차·기아 제네시스설계센터장 신용석 상무와 미쉐린 조지 레비(Georges Levy) 아시아퍼시픽 OE 총괄 부사장이 참석했다.

양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향후 3년간 타이어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협력은 2017년과 2022년에 이어 진행되는 세 번째 파트너십이다. 그동안 양측은 후륜구동 전기차에 적합한 타이어 규격을 개발하고, 친환경 타이어와 마모 저감 기술 연구 등을 공동으로 수행하며 여러 성과를 거둬왔다.

현대자동차·기아는 이번 3차 협약을 통해 지난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더 고도화된 기술 협업을 이어간다는 구상이다.

협력 범위는 △타이어 성능 향상 △가상 시뮬레이션 기술 고도화 △기술 역량 교류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타이어 성능 향상 분야에서는 초저회전저항 타이어, 스마트 그립 기반 차량 제어 기술 등 주행 퍼포먼스를 높이는 기술 연구가 집중될 전망이다. 특히 고속주행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한계 핸들링과 제동 성능 개선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진행된다.

가상 시뮬레이션 분야에서는 오프로드 타이어 개발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버추얼 개발 환경 고도화가 주요 과제로 꼽힌다. 현대자동차·기아는 실제 개발 과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시뮬레이션 기술 기반의 개발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양측은 기술 교류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현대자동차·기아는 차량과 샤시 구조에 대한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미쉐린은 타이어 설계와 평가 관련 전문 교육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양사는 이러한 인력 교류를 통해 상호 연구 역량을 확장하고 협력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신용석 현대자동차·기아 제네시스설계센터장은 “이번 3차 기술 협력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하는 타이어 기술 혁신을 기대한다”며 “각 사의 기술 역량이 시너지를 발휘해 차량의 주행 퍼포먼스로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자동차·기아는 전기차 고성능화, 주행 안정성 강화, 연비 효율 개선 등 타이어 개발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만큼 글로벌 파트너십을 확대해 차세대 모빌리티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jinlee@economytribu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