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 트리뷴 = 김용현 기자] 28일 LS일렉트릭은 일본 치바현 이치하라시에서 전력변환장치(PCS) 2MW·배터리 8MWh 규모의 계통연계 에너지저장장치(ESS) 발전소 기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일본 신재생 확대 정책으로 ESS 수요가 빠르게 커지는 가운데 직접 투자·운영까지 참여하며 현지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LS일렉트릭이 일본에서 직접 투자와 운영을 병행하는 첫 사업이다.
회사는 PCS 등 핵심 전력기기와 에너지관리시스템(EMS)을 공급해 발전소의 효율과 안정성을 높일 계획이다.
이 가운데 전력망에 연결해 남는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할 때 공급함으로써 태양광·풍력의 출력 변동성을 보완하는 계통연계 ESS는 일본 전력망에서 활용도가 높아,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 기술로 꼽힌다.
계통과 ESS 간 충·방전 흐름을 나타낸 LS일렉트릭의 계통연계 ESS 구성도. 남는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 시 다시 공급하는 구조를 PCS·PMS·BMS가 통합 제어한다. [사진 = LS일렉트릭]
한편 이번 프로젝트는 글로벌 ESS 사업 구조 변화와도 맞닿아 있다.
기존에는 금융기관·투자펀드·전력회사 등이 투자를 맡고 전력기기 기업은 설계·조달·시공(EPC)과 통합운영(O&M)에 집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반면 LS일렉트릭은 일본 내 구축·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EPC에서 투자·운영·전력거래까지 전 과정으로 확장하며 ‘풀 밸류체인’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LS일렉트릭은 일본 ESS 시장에서 실적을 꾸준히 쌓아왔다.
지난 4월 일본 미야기현 와타리 지역에서 20MW·90MWh 규모의 계통연계 ESS 구축 사업을 수주해 한국 기업의 일본 ESS 사업 중 최대 기록을 세웠다. 2022년에도 홋카이도와 규슈에 최초 계통연계형 ESS 발전소를 구축했고, 도쿄 ESS 보조금 사업에서는 전체의 절반 이상을 확보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일본 정부는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재생에너지 비중을 2020년 19.8%에서 2030년 36~38%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ESS 설치비 보조 정책도 병행되고 있어 일본 ESS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LS일렉트릭은 그간 확보한 구축 역량을 기반으로 투자형 모델까지 사업을 확장해 현지 주도권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조욱동 LS일렉트릭 본부장(전무)은 “이번 프로젝트는 LS일렉트릭이 일본 전력 시장에 직접 참여해 에너지 전환의 주체로 나서는 첫걸음”이라며 “일본 내 ESS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 경험을 통해 역량을 인정받은 만큼, 현지 시장에서 직접 투자·전력거래로 보폭을 넓혀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kyh-official@economytribu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