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현대자동차그룹]


[이코노미 트리뷴 = 이진석 기자] 28일 현대자동차그룹은 전기차 배터리를 전력망과 직접 연결해 전력을 양방향으로 주고받는 V2G(Vehicle to Grid) 기술을 국내 최초로 제주도에서 선보인다고 밝혔다.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제주에서 전기차를 분산형 에너지 저장장치로 활용해 전력 수급을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지난 9월 제주도와 체결한 ‘그린수소 및 분산에너지 생태계 조성’ 협약의 후속 조치로 다음달 말 제주에서 V2G 시범 서비스를 개시한다. 아이오닉9 또는 EV9을 소유하고 자택이나 직장에 충전기를 설치할 수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다음달 초부터 총 55대 규모의 참여자를 모집한다.

V2G는 전용 양방향 충전기를 통해 전기차에 전력을 채우는 것은 물론 차량에 남은 전력을 다시 전력망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전기차·충전기·전력망 간 통신을 기반으로 전력 수요와 가격 변동을 분석해 충전과 방전 시점을 자동으로 조정한다. 전력 수요가 낮고 가격이 저렴한 시간대에는 충전이 이뤄지고 수요와 가격이 높은 시간대에는 전기차가 가진 전력이 역으로 전력망에 공급되는 구조다.

SDV 전기차와 양방향 충전기를 하나의 가상발전소(VPP)로 묶어 전력 수요·가격에 따라 충·방전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다. 전기차는 전력을 저장했다가 필요한 시간대에 전력망으로 공급할 수 있어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에 활용된다. 유럽에서는 이 방식으로 전기차 오너가 전력 판매 수익을 얻고 있으며 한국은 기술·제도 검증 단계다. [사진 = 현대자동차그룹]


이번 사업은 민관 합동으로 추진된다. 현대차·기아가 사업 운영과 기술 검증을 맡고 현대엔지니어링이 충전 서비스 분석과 고도화 방안을 마련한다. 제주도청은 조례와 제도 개선을 담당하며 한국전력은 전기차와 배전망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참여 고객에게 양방향 충전기를 무료로 설치해주고 시범 기간 동안 차량 충전요금을 전액 지원할 계획이다.

제주는 풍력과 태양광 발전 비중이 높아 낮 시간대 잉여전력 발생이 잦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전기차가 낮에는 남는 전력을 흡수하고 밤에는 다시 공급하는 구조가 가능해지면서 전력망 안정에 도움이 되고 재생에너지의 활용도와 경제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범 운영 과정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술성과 사업성을 검증한 뒤 제도 요건이 마련되면 제주에서 상용화를 추진하고 국내 다른 지역으로의 확대도 검토한다.

해외에서는 네덜란드에서 다음달 말 완성차 업체 최초로 V2G 정식 서비스를 개시한다. 현지 아이오닉9·EV9 보유 고객을 대상으로 우선 적용되며 내년에는 서비스 차종을 넓히고 영국 등 유럽 지역으로도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2월 스마트 충전 서비스를 시작해 충전비 절감 효과를 제공해온 만큼 향후 V2G를 통해 고객이 전력 거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도 가능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에서는 대형 산불 등 자연재해 발생 시 전기차 전력을 가정에 공급하는 V2H(Vehicle to Home) 서비스를 이미 운영 중이다. 기아는 올해 2월부터 캘리포니아·뉴욕 등 7개 주에서 EV9 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대차도 연말부터 OTA 업데이트 일정에 따라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정호근 현대자동차그룹 미래전략본부 부사장은 “V2G는 전기차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기술이자 미래 에너지 시장을 여는 출발점”이라며 “국내외 시범과 상용 서비스를 토대로 친환경 모빌리티와 에너지 산업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jinlee@economytribune.co.kr